[Silver 3] [Java] 놀라운 문자열 (1972번)
by HeshAlgo<놀라운 문자열>
문제 설명
대문자 알파벳으로만 이루어져 있는 문자열이 있다. 이 문자열에 대해서 ‘D-쌍’이라는 것을 정의할 수 있는데, 이 문자열에 포함되어 있는, 거리가 D인 두 문자를 순서대로 나열한 것을 이 문자열의 D-쌍이라고 한다. 예를 들어 문자열이 ZGBG라고 하자. 이 문자열의 0-쌍은 ZG, GB, BG가 되고, 이 문자열의 1-쌍은 ZB, GG가 되며, 이 문자열의 2-쌍은 ZG가 된다. 문자열의 길이가 N이라고 할 때, 0-쌍부터 (N-2)-쌍까지가 정의됨을 알 수 있다.
만일 정의되는 D에 대해, 어떤 문자열의 모든 D-쌍들이 서로 다를 때, 이 문자열을 D-유일하다고 한다. 위의 예를 보면, 0-쌍들은 ZG, GB, BG로 모두 다르다. 따라서 이 문자열은 0-유일하며, 마찬가지로 1-유일하고, 2-유일하다. 하지만 만일 문자열이 AAA라고 하자. 이 문자열은 0-유일하지 않으며, 다만 1-유일하다.
만일 어떤 문자열이 정의되는 모든 D에 대해 D-유일하면, 이 문자열을 정말이지 ‘놀라운 문자열’이라고 한다. 문자열이 주어질 때, 이 문자열이 놀라운 문자열인지 아닌지를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제한 사항
입력
입력의 각 줄에는 알파벳 대문자로만 구성된 문자열이 주어진다. 모든 문자열의 길이는 80을 넘지 않으며, 입력의 마지막 줄에는 마지막을 나타내는 *가 주어진다. 입력은 마지막 줄을 포함해서 101줄을 넘지 않는다.
출력
각 줄에 이 문자열이 놀라운(surprising) 문자열인지 아닌지를 아래의 예제와 같이 출력한다.
내 생각
문자를 자르는 것 까진 생각을 했지만 중복검사를 어떻게 해야할지 고민을 많이 했습니다. 순차탐색을 하기엔 시간이 오래 걸릴 것 같아서 다른 방법을 생각해봤습니다. 자른 문자열들을 해시와 리스트에 각각 넣었습니다. 만약 중복된 문자열이 없으면 해시의 크기와 리스트의 크기는 같을 수 밖에 없습니다. 이 방법을 이용해 중복체크 검사를 했습니다.
푼 시간
41분 30초
작성 코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
import java.util.*;
public class Main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canner scan = new Scanner(System.in);
while (true) {
String word = scan.next();
if (word.equals("*"))
break;
boolean flag = true;
for (int i = 0; i < word.length()-1; i++) {
List<String> list = new ArrayList<String>();
HashSet<String> set = new HashSet<String>();
// 2
for (int j = 0; j < word.length() - i - 1; j++) {
String pair_string = "" + word.charAt(j) + word.charAt(j+i+1);
list.add(pair_string);
set.add(pair_string);
}
if (list.size() != set.size()) {
flag = false;
break;
}
list.clear();
set.clear();
}
if (flag)
System.out.println(word + " is surprising.");
else
System.out.println(word + " is NOT surprising.");
}
}
}
|
실행 결과
'알고리즘 > 백준 (문자열)' 카테고리의 다른 글
[Silver 5] [Java] 방 번호 (1475번) (0) | 2020.03.29 |
---|---|
[Bronze 2] [Java] 다이얼 (5622번) (0) | 2020.03.29 |
[Silver 5] [Java] 그룹 단어 체커 (1316번) (0) | 2020.03.04 |
블로그의 정보
꾸준히 공부하는 개발 노트
HeshAlg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