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Reset 명령어 - 중간 중간 커밋을 자주 만들어놔서 옛날 커밋 상태로 되돌리고 싶을때 Reset 명령어를 사용 - 해당 Reset 명령어에는 총 3가지의 옵션 종류가 있습니다. (Hard, Soft, Mixed) 1) Hard 모드 - Working Directory, Staging Area, Repository 등 모든 작업 공간의 내역을 깔끔하게 돌리겠다는 옵션 모드 $ git reset --hard HEAD^ Q) HEAD^ 의미? -> Head가 가리키고 있는 첫번째를 의미 2) Mixed 모드 (Default 옵션) - 현재 내가 수정하고 있는 Working Directory내용을 제외한 이전 단계로 돌리겠다는 옵션 모드 $ git reset --mixed(생략 가능) HEAD^ 3) ..
1. Git 이란? - 로컬에서 관리되는 버전 관리 시스템 (VCS : Version Control System) - 깃에서 버전이란 문서를 수정하고 저장할 때마다 생기는 파일 2. Git의 세 가지 상태 1) Working tree - 내가 코드작업을 하는 공간 - 즉, 변경사항이 생기는곳으로 수정한 파일을 아직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커밋하지 않은 상태 2) Staging - 버전이 될 후보들이 올라오는 공간 - 즉, 수정할 파일을 곧 커밋할것이라고 표시 3) Repository - 데이터가 로컬 데이터베이스에 안전하게 저장 Working Tree에서 파일을 수정하면 Staging에 파일을 대기시킵니다. 스테이징에서 존재하는 파일 중 Repository에 올리고 싶은 파일만 선택해 커밋으로 Git 디렉토..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