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Maven과 Gradle 우리는 스프링 프로젝트를 생성할 때 Maven을 선택할 것인지 Gradle을 선택할 것인지 선택할 것입니다. 이전엔 책에서 하란대로 따라만 했지 둘이 어떤 차이가 있는지 잘 모르고 개발을 했습니다. 이런 기본적인 것들을... 좀 채워보고자 깊이는 아니더라도 어느 정도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스프링을 초기 설정부터 시작해 개발을 진행해보겠습니다. 1) Maven pom.xml을 이용한 정형화된 빌드 시스템으로 다양한 라이브러리를 관리하며 네트워크를 통해 자동으로 다운을 받아줍니다. 기존엔 Apach Ant(자바로 개발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커맨드 라인 형태의 빌드, 배포를 위한 도구)라는 빌드 도구를 많이 사용했지만 Maven이 Ant를 넘어서 개발자들이 많이 사용하고 있습니다..
1. DI(Dependency Injection) DI란 의존성 주입을 나타낸다. 미리 외부에서 생성한 객체 인스턴스에 대해서 특정 설정을 통해 객체의 종속성을 정의할수 있는 프로세스입니다. 쉽게 말하자면 어떤 객체가 필요한 객체를 외부에서 밀어넣는 것을 의미합니다. DI 원칙을 사용하면 코드가 더 깔끔해지고 디커플링에 대해서 매우 효과적입니다. 이런 스프링 DI를 주입하는 방법에는 크게 2가지 방법이 있습니다. 첫번째로 생성자를 통한 주입, 두번째로는 Setter를 통한 주입 이렇게 2가지 입니다. 이전에는 필드를 통한 생성자 주입도 존재했었는데 스프링 공식문서에는 위의 2가지 방법만을 설명하고 있어서 위의 2가지 설정에 대해서만 보도록 하겠습니다. 1) 생성자를 통한 주입 - 현재 가장 많이 사용하고..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