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url: (52) Empty reply from server??? Elasticsearch를 로컬에서 테스트를 하면 주로 키바나를 이용해서 해당 curl을 이용할 일이 거의 없었습니다. 그런데 어찌하다 우연히 터미널에서 http://localhost:9200을 요청을 했었는데 http를 사용해서 발생되는거기 때문에 https 요청을 해봐야겠다 싶었습니다. 그런데, 엥..?? 원래 이전에 했을때 그냥 됐었는데 갑자기 요청이 안되네요... 그러다 막 찾아보니 여러가지 해결방법이 있었는데 그중 대표적인 해결 방법으로 두 가지가 있었습니다. 1. Elasticsearch version down 2. curl 요청 옵션 추가 1번의 경우는 제 로컬에 설치된 Elasticsearch 버전은 현재 8.x.x로 가장..
Elasticsearch의 검색 기능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해당 게시글을 통해 정리해보겠습니다. 품질이 높은 검색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고려해야 될 부분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나이키"라는 검색어로 검색을 했다고 가정하였을때, "나이키"란 검색어만 보여줄 것인지 "나이키 신발", "나이키 매장" 등과 같이 "나이키"란 검색어가 포함된 검색 결과를 보여줄 것인지 검색엔진의 설정에 따라 여러 가지의 검색 결과를 나타내 줄 것입니다. "나이키"란 키워드를 검색 했을때 "나이키 신발", "나이키 매장", "나이키 옷" 등과 같이 관련된 검색을 원한다면 여러 가지 정보를 볼 수 있어서 좋긴 하겠지만 반대로, 검색 결과가 너무 많은 탓에 내가 정확히 얻어내고 싶은 상품을 찾기는 힘들 것..
Elasticsearch는 http 프로토콜로 접근이 가능한 REST API를 지원합니다. 자원별로 고유 URL로 접근이 가능하며 http 메서드 PUT, POST, GET, DELETE를 이용해서 자원을 처리합니다. Elasticsearch에서는 단일 도큐먼트별로 고유한 URL을 갖고있습니다. http://://_doc/ 1. 입력(PUT) 데이터를 입력할 때는 PUT 메서드를 이용합니다. 다음 my_index에서 도큐먼트가 1인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입니다. PUT my_index/_doc/1 { "name" : "Gildong Hong" , "message" : "안녕하세요." } // my_index/_doc/1 최초 입력 결과 { "_index" : "my_index", "_type" : "_d..
엘라스틱서치에서는 색인할 때 문서의 데이터 유형에 따라 필드에 적절한 데이터 타입을 지정해야합니다. 이러한 과정을 매핑이라하고 색인될 문서의 데이터 모델링이라고도 할 수 있다. 즉, 인덱스에 추가되는 각 데이터 타입을 구체적으로 정의하는 일 한번 생성된 매핑의 타입은 변경할 수 없기 때문에 신중하게 선택해야 한다. 만약 타입을 변경하려면 인덱스를 삭제한 후 다시 생성하거나 매핑을 다시 정의해야한다. 1. Settings 1) number_of_shards, number_of_replicas 모든 인덱스는 settings, mappings 라는 2가지의 정보 단위를 가지고 있습니다. // my_index의 settings, mappings 확인해보기 GET my_index // my_index의 respo..
Elasticsearch Node? 엘라스틱서치 클러스터를 운영하기 위해 다수의 물리 서버에 엘라스틱서치를 설치하고 실행하게 되는데, 이때 실행된 엘라스틱서치 인스턴스를 노드라고 한다. 즉, 물리적으로 실행된 런타임 상태를 나타낸다. 엘라스틱서치의 경우에는 다수의 서버로 분산해서 처리하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다. 분산 처리를 위해서는 다양한 형태의 노드들을 조합해서 클러스터를 구성해야 한다. 엘라스틱서치는 각 설정에 따라 4가지 유형의 노드를 제공한다. 노드의 상태를 원하는 상태로 변경하고 싶다면 엘라스틱 서치 서버의 config 폴더 안의 elasicsearch.yml 파일을 열어 설정할 수 있다. 설정 방법은 각 노드의 종류를 설명하면서 작성해보겠습니다. 1. 마스터 노..
Elasticsearch 란? 루씬(Lucene) 기반의 Java 오픈소스 분산 검색 엔진입니다. 모든 유형의 데이터에 대해 준실시간에 가까운 검색 및 분석을 제공합니다. 엘라스틱 서치는 Logstash, Kibana와 함께 사용되면서 ELK Stack이라고 널리 알려져 있습니다. Kibana(키바나) - 엘라스틱 서치에서 제공하는 데이터 시각화 프로그램 Logstash(로그 스태시) - 다양한 소스로부터 데이터를 수집하고 전환하여 원하는 대상에 전송할 수 있도록 하는 경량의 오픈 소스 서버 측 데이터 처리 파이프라인 Elasticsearch 장점 1. 오픈소스 검색엔진 - 엘라스틱서치는 아파치 재단의 루씬(Lucene)을 기반으로 개발된 오픈소스 검색엔진이다. 따라서 버그가 발생할 경우에도 대부분 빠르..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