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lasticsearch의 검색 기능에 대한 전반적인 내용을 해당 게시글을 통해 정리해보겠습니다. 품질이 높은 검색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서는 여러 가지 고려해야 될 부분들이 많다고 생각합니다. 예를 들어 "나이키"라는 검색어로 검색을 했다고 가정하였을때, "나이키"란 검색어만 보여줄 것인지 "나이키 신발", "나이키 매장" 등과 같이 "나이키"란 검색어가 포함된 검색 결과를 보여줄 것인지 검색엔진의 설정에 따라 여러 가지의 검색 결과를 나타내 줄 것입니다. "나이키"란 키워드를 검색 했을때 "나이키 신발", "나이키 매장", "나이키 옷" 등과 같이 관련된 검색을 원한다면 여러 가지 정보를 볼 수 있어서 좋긴 하겠지만 반대로, 검색 결과가 너무 많은 탓에 내가 정확히 얻어내고 싶은 상품을 찾기는 힘들 것..
문제 N이 주어졌을 때, 1부터 N까지의 수로 이루어진 순열을 사전순으로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째 줄에 N(1 ≤ N ≤ 8)이 주어진다. 출력 첫째 줄부터 N!개의 줄에 걸쳐서 모든 순열을 사전순으로 출력한다. 문제 풀이 Java Code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public class Main { static int N; static int[] permutation; static boolean[] check;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
실무에 직접 개발을 하면서 내가 느끼는 것은 CS에 대한 기본지식이 많이 부족하다고 느낍니다. 그중에서도 운영체제 부분이 내가 알고 있는 CS 지식 중 가장 모르는 부분이라고 항상 느끼고 있었습니다. 그동안 기술적인 것들을 공부하는데 집중을 했었는데 아무래도 신입 개발자인 만큼 기본적인 것이 가장 중요하다고 생각되어 운영체제 부분을 좀 익혀둘 필요가 있다고 생각됩니다. 그래서 오늘부터 운영체제 책을 참고하면서 그동안 내가 몰랐던 부분이나 놓쳤던 부분들을 정리해나갈 생각입니다. 1. 운영체제 운영체제는 사용자에게 편리한 인터페이스 환경을 제공하고 컴퓨터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는 소프트웨어입니다. 그렇다면 운영체제는 어떻게 시스템의 자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게 되는걸까요?? 기술이 발달하면서 메모리..
오늘 회사에서 Deadlock이 발생하는 오류가 생겼었습니다. 해당 에러 알람을 받고 왜 Deadlock이 발생한 것인지 확인해보려 했지만 어떻게 찾아봐야 할지 감이 안 잡혔습니다. 이 교착상태가 무엇이고 어떤 상황에서 발생하는지 이론적인 건 알고 있지만 실제 실무에서 발생했을 때 어떻게 대처해야 되는지는 몰랐기 때문에 좀 어리바리했었습니다..ㅠㅠ 그래서 이번에 다시 한번 Deadlock에 대해서 공부해보고 다음에 똑같은 이유로 Deadlock이 발생했을 때를 대비해 빠르게 대응할 수 있도록 다시 한번 짚고 넘어갈 필요가 있겠다 싶었습니다. 1. Deadlock(교착상태) - 2개 이상의 프로세스가 다른 프로세스의 작업이 끝나기만을 기다리며 작업을 더 이상 진행하지 못하는 상태 (무한 대기 상태) 그래서..
Elasticsearch는 http 프로토콜로 접근이 가능한 REST API를 지원합니다. 자원별로 고유 URL로 접근이 가능하며 http 메서드 PUT, POST, GET, DELETE를 이용해서 자원을 처리합니다. Elasticsearch에서는 단일 도큐먼트별로 고유한 URL을 갖고있습니다. http://://_doc/ 1. 입력(PUT) 데이터를 입력할 때는 PUT 메서드를 이용합니다. 다음 my_index에서 도큐먼트가 1인 데이터를 입력하는 방식입니다. PUT my_index/_doc/1 { "name" : "Gildong Hong" , "message" : "안녕하세요." } // my_index/_doc/1 최초 입력 결과 { "_index" : "my_index", "_type" : "_d..